생활 life

3살 버릇 여든안에 고치는 습관의 기술, 21일 법칙

2017. 5. 22. 14:49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작심삼일’. 그만큼 본인이 그간 해온 습관을 고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작심삼일을 일곱 번만 반복하면, 당신이 변하고 당신의 인생이 바뀝니다. 바로 ‘21일의 법칙’입니다. 

미국인 의사 맥스웰 몰츠가 『성공의 법칙』에서 나온 유명한 법칙으로 ‘무엇이든 21 일만 계속하면 습관이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왜 굳이 21일이냐고 묻는다면, 그 답은 우리의 뇌가 새로운 행동에 익숙해지는 데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기억, 집중, 사고 고정관념을 담당하는 대뇌피질과 불안과 두려움 등을 담당하는 대뇌변연계를 거쳐 습관을 관장하는 뇌간까지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이 21일인 것이지요. 매일, 조금씩, 일정 시간, 일정 장소에서 최소한 3주 동안 뇌에 습관을 각인시켜 나쁜 습관은 고치고, 좋은 습관을 들이는 기술입니다. 



21일 법칙 활용법


Step1. 실익을 따져본다

습관을 고치거나, 새로운 습관을 들이도록 할 때, 우선 자신에게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 따져봐야 합니다. 당장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습관이 10년, 20년 지속했을 때 좋은 습관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실이 되는 습관이라면 고쳐야 합니다.



Step2. 실행 가능한 목표, 명확한 동기 설정

습관을 고치기 위해 명확한 동기를 찾고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야 제대로 된 목표를 설정할 수 있고, 자신이 왜 습관을 고쳐야 하는지 이유를 되짚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막연한 목표보다는 실행 가능한 작은 목표를 세워 고쳐 나가야 합니다. 무리한 목표는 성취하기 어려울 뿐더러 작심삼일이 되기 쉽습니다. 



Step3. 계획은 잘게 썰어라

목표와 계획만 있으면 실천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실천하기 쉽도록 한달, 일주일, 하루 잘게 쪼개서 실천해야 합니다. 실천한 계획들은 하루하루 체크하면서 단, 명심해야 할 부분은 21일은 최소한의 기간이지, 최대 기간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최소한 3개월 이상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Step4. 방해요인 대책 마련

계획을 실천하다 보면 경조사, 야근 등 불가피한 일이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계획표를 세우기 전 이러한 방해 요인들은 미리 예측해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갑자기 오는 방해요인으로 21일 법칙을 그만두는 경우가 허다하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Step5. 한 기간에 한 습관만 바꿔라

‘과유불급’이라는 사자성어처럼 한 기간에 많은 습관을 고치거나, 새로운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면, 한 가지 습관이 고쳐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기간에 한 습관에만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Step6. 체력관리

21일의 법칙을 실천하기 위해선 체력도 중요합니다. 꾸준히 계획을 실행하는 힘은 ‘체력’에서 나오니까요. 하루에 근력운동 30분만으로도 체력이 늘어난다고 하니 체력도 늘리고 운동하는 습관을 들여보도록 하세요.


Step7. 실천하라

고기를 잡으려 할 때 낚시대만 백날 만들고 있다면 고기를 잡을 수 없습니다. 미끼를 끼고 직접 낚시줄을 물속에다 던져야 비로소 고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21일 법칙도 마찬가지로 무엇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실천은 습관을 고치고, 새로운 습관은 당신의 삶을 바꿉니다.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저명한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가 남긴 명언처럼, 습관을 바꿔 우리의 인생을 바꿔봅시다. 나쁜 습관, 이제부터 굿바이.





작성자

Posted by 아카데미아 라운지

공유

댓글